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총정리 | 2025년 지원금액과 신청방법
💰 기초생활수급자 4대 급여 핵심 요약
- 생계급여: 1인 가구 월 713,102원 (2025년 기준)
- 의료급여: 병원비 본인부담금 없음 또는 최소
- 주거급여: 임차료 지원 또는 수선유지급여
- 교육급여: 교육활동지원비, 교과서비 지원
🏠 기초생활수급자 제도 개요
기초생활수급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. 4대 급여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)를 통해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합니다.
💡 기초생활보장제도란?
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인 가구에게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를 지급하여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
📊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지원대상
급여 종류 | 선정기준 (기준 중위소득 대비) | 대상자 |
---|---|---|
생계급여 | 30% 이하 | 가장 기본적인 생활 지원 |
의료급여 | 40% 이하 | 의료비 지원 |
주거급여 | 48% 이하 | 임차료 또는 수선비 지원 |
교육급여 | 50% 이하 | 교육비 지원 |
💰 생계급여 혜택 및 지원내용
💵 2025년 생계급여 지급액
가구원수 | 기준 중위소득 30% | 최대 지급액 |
---|---|---|
1인 | 713,102원 | 713,102원 |
2인 | 1,178,435원 | 1,178,435원 |
3인 | 1,508,690원 | 1,508,690원 |
4인 | 1,838,945원 | 1,838,945원 |
5인 | 2,169,200원 | 2,169,200원 |
💡 생계급여 지급방식
- 지급일: 매월 20일 (토요일, 공휴일인 경우 전일)
- 지급방법: 계좌이체
- 계산방식: (선정기준 – 소득인정액) = 지급액
🏥 의료급여 혜택 및 지원내용
🩺 의료급여 지원 범위
의료급여 1종 (기초생활수급자)
- 입원: 본인부담금 없음 (0%)
- 외래: 1차 1,000원, 2·3차 1,500원
- 약국: 처방전 지참 시 500원
- 대상: 생계급여 수급자
의료급여 2종 (차상위계층)
- 입원: 본인부담률 10%
- 외래: 1차 1,000원+15%, 2·3차 1,500원+15%
- 약국: 500원+20%
- 상한액: 월 80,000원
🏠 주거급여 혜택 및 지원내용
🏡 주거급여 지원 유형
📋 임차급여 (전월세 거주자)
지역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
---|---|---|---|---|
서울 | 371,000원 | 414,000원 | 506,000원 | 569,000원 |
경기·인천 | 285,000원 | 318,000원 | 388,000원 | 436,000원 |
광역시 | 233,000원 | 260,000원 | 317,000원 | 357,000원 |
그 외 | 189,000원 | 211,000원 | 257,000원 | 289,000원 |
🔧 수선유지급여 (자가 거주자)
- 경보수: 378만원 (3년 주기)
- 중보수: 702만원 (5년 주기)
- 대보수: 1,241만원 (7년 주기)
- 지원내용: 도배, 난방, 지붕, 창호 등 주택 개보수
📚 교육급여 혜택 및 지원내용
🎓 2025년 교육급여 지원금액
구분 | 교육활동지원비 | 교과서비 | 입학금·수업료 |
---|---|---|---|
초등학생 | 461,000원 | – | – |
중학생 | 654,000원 | – | – |
고등학생 | 727,000원 | 실비 | 입학금·수업료 전액 |
📝 교육급여 지원내용
- 교육활동지원비: 학용품, 교통비, 체험학습비 등
- 교과서비: 고등학생 교과서 구입비
- 입학금·수업료: 고등학교 입학금 및 수업료 전액
- 급식비: 전액 지원 (별도 신청)
💳 추가 혜택 및 할인 서비스
📱 통신비 할인 혜택
📞 유선전화
월 기본료 50% 할인
📱 휴대폰
월 26,000원 할인
🌐 인터넷
월 30% 할인
📺 IPTV
월 30% 할인
⚡ 공과금 할인 혜택
- 전기요금: 월 16,000원 한도 할인 (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)
- 도시가스: 월 24,000~36,400원 할인
- 상하수도료: 월 최대 30% 할인
- TV 수신료: 전액 면제
- 종량제봉투: 연 120매 지원
🚗 교통비 할인 혜택
- 지하철·버스: 무료 또는 50% 할인 (지역별 상이)
- 고속철도(KTX): 30% 할인
- 시외버스: 20~30% 할인
- 연안여객선: 20% 할인
📝 기초생활수급자 신청방법
🏢 신청 장소
-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
- 시·군·구청 사회복지과
- 복지로 온라인 신청 (www.bokjiro.go.kr)
-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신청
📋 신청 절차
- 상담 및 신청
관할 주민센터 방문하여 상담 후 신청서 작성 - 서류 제출
구비서류 제출 및 접수 - 조사·심사
소득·재산·부양의무자 조사 (30일 이내) - 결정 통보
급여 지급 결정 및 통보 - 급여 지급
결정 시 익월부터 급여 지급 시작
📄 필요서류
📋 공통 제출서류
- 사회보장급여 제공(변경) 신청서
- 소득·재산 신고서
-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
- 임대차계약서 (해당시)
- 통장사본 (본인 및 가구원)
- 소득증빙서류 (근로소득, 사업소득 등)
📋 추가 제출서류
- 가족관계증명서
- 혼인관계증명서
- 임신진단서 (임산부의 경우)
- 장애인등록증 (장애인의 경우)
- 재학증명서 (학생의 경우)
- 부채증빙서류 (해당시)
⚠️ 주의사항
🚨 중요한 주의사항
- 변동사항 신고 의무
소득, 재산, 가구 구성원 변동 시 즉시 신고 - 부정수급 금지
거짓 신고 시 급여 환수 및 법적 처벌 - 정기 확인조사
매년 정기적으로 수급자격 확인조사 실시 - 급여 지급 정지
자격 요건 미달 시 급여 지급 중단 - 이의신청
부지급 결정에 불복 시 60일 이내 이의신청 가능
📅 급여별 지급일정
- 생계급여: 매월 20일
- 주거급여: 매월 20일
- 교육급여: 분기별 지급 (3, 6, 9, 12월)
- 의료급여: 의료기관 이용 시 즉시 적용
📞 문의처 및 연락처
🏢 주요 문의처
보건복지부 콜센터
☎️ 129 (24시간 운영)
기초생활보장제도 전반 상담
복지로 고객센터
☎️ 129
홈페이지: www.bokjiro.go.kr
거주지 관할 주민센터
신청, 상담, 서류 제출 등
희망복지지원단
통합사례관리 및 맞춤형 복지서비스
🌐 온라인 서비스
- 복지로: www.bokjiro.go.kr
- 보건복지부: www.mohw.go.kr
- 정부24: www.gov.kr
- 국민신문고: www.epeople.go.kr
❓ 자주묻는질문 (FAQ)
Q1. 기초생활수급자가 되면 모든 혜택을 다 받나요?
A: 급여별로 선정기준이 다릅니다. 소득인정액에 따라 생계급여(30%), 의료급여(40%), 주거급여(48%), 교육급여(50%) 중 해당하는 급여만 받을 수 있습니다.
Q2. 기초생활수급자도 일을 할 수 있나요?
A: 네, 가능합니다. 다만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소득인정액이 증가하여 급여액이 줄어들거나 수급자격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. 근로소득공제 제도가 있어 일정 부분 소득은 제외됩니다.
Q3. 부양의무자가 있으면 기초생활수급자가 될 수 없나요?
A: 생계급여와 의료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됩니다. 단,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부양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수급자가 될 수 있습니다.
Q4. 기초생활수급자 혜택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?
A: 수급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한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. 매년 정기 확인조사를 통해 자격을 재심사하며, 소득이나 재산이 증가하여 선정기준을 초과하면 급여가 중단됩니다.
Q5. 기초생활수급자에서 탈락하면 다시 신청할 수 있나요?
A: 네, 가능합니다. 소득이나 재산 상황이 다시 어려워져서 선정기준에 해당하게 되면 언제든지 재신청할 수 있습니다.
Q6. 주거급여와 생계급여를 따로 신청해야 하나요?
A: 아니요, 한 번 신청으로 모든 급여에 대해 심사를 받습니다. 소득인정액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급여가 자동으로 결정됩니다.
🎯 기초생활수급자 신청하기
생활이 어려워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온라인 신청하기 (복지로)※ 신청은 무료이며, 상담을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⚠️ 면책 조항
본 정보는 2025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정책 변경에 따라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정보는 관할 기관에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본 내용은 참고용이며, 신청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
💡 마지막 당부
기초생활보장제도는 어려운 상황에 처한 모든 국민을 위한 소중한 안전망입니다. 주저하지 마시고 신청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더 나은 내일을 위한 첫걸음, 기초생활보장제도와 함께 하세요!